Nuacht

지난달 27일, KAIST 대학원 총학생회 인권센터에서 진행한 ‘KAIST 제1회 우수윤리 교수상’의 최종 수상작 세 작품이 공개되었다. 이번 행사는 대학원 생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교수의 인권 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인권 감수성이 우수한 교수를 찾아 모범사례를 교내 구성원에게 공유하고자 하는 ...
지난해 한국뇌연구원에서 처음으로 ‘뇌파 드론’을 공개해, 뇌파만으로 드론을 조종할 수 있는 체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기술은 BCI(Brain-Computer Interface)로, 인간의 두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여 뇌파를 통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기술이다. BCI가 발전하면 궁극적으로는 생각만으로도 ...
알립니다 | 해당 기사에서 설명하고 있는 "구조된 거위 두 마리"는 지난 28일 방사되었습니다. 다만, 28일 저녁에 허원도 교수는 "28일에 방사 및 확인한 결과 구조된 거위 두 마리가 사실 오리였다"라고 본지에 알려왔습니다. 관련한 정정 보도는 9월 10일 발행되는 535호에 실릴 예정입니다. 독자 ...
지난 3월 19일 교육부는 ‘제5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통해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5년간의 영재교육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현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인 AI 영재학교 설립 내용 또한 담겼다. 2027년도 3월 개교 목표로 충청북도에 우리 학교 부설 AI 바이오 영재학교와 광주 ...
본지 지난호에 보도된 교내에서 구조된 “새끼 거위 두 마리”가 오리였음을 바로잡는다(관련기사 본지 534호 ). 지난 7월 구조자가 우리 학교 시설팀과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에게 인계한 새끼 오리 두 마리는 지난달 28일까지 교내 보호 시설에서 성장한 후 캠퍼스에 방사되었다. 방사가 진행된 28일 ...
자연스레 작품 속에 녹아드는 연기력의 소유자, 맑고 깔끔한 목소리가 트레이드 마크인 성우 남도형을 만났다. 2006년 KBS 32기 전속 공채 성우를 시작으로 18년째 성우의 길을 걷고 있는 남도형 성우는 , , 등 다양한 작품에서 특유의 깔끔한 미성을 베이스로 캐릭터 속에 녹아드는 연기를 보여주고 있다 ...
평범한 혐오의 시대, 혐오라는 역사 혐오는 꽤 긴 역사를 가진 현상이다. 인간은 본래 가지고 있는 감정과 견해를 표현하면서 살아간다. 개인의 감정과 의견은 자신을 드러내는 요소로써, 타인에 의해 재단되거나 조작될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사회 속에서 타인과 소통하고 상호작용을 하며 ...
지난해 9월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4회 심의회의를 통해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이하 R&D) 예산 배분·조정안을 의결하고 정부 R&D제도 혁신 방안을 검토한 바 있다. (관련기사 본지 521호, ) 그 결과 종전 31조 1,000억 원 규모였던 R&D 총 예산이 16.6% 삭감됨에 따라 약 25조 ...
우리 학교는 지난 2022년 계약 학과인 반도체시스템공학과를 설립하여, 3년째 학사 과정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이는 2021년 7월 우리 학교와 평택시, 그리고 삼성전자 사이에 체결된 반도체 인력양성 및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협약으로부터 시작된 계획이다. (관련기사 492호, ) 이 계획에는 반도체 ...
지난달 10일, 스웨덴 한림원에서 한강이라는 이름이 울려 퍼졌다. 한강은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 강렬한 시적 산문”을 쓰는 작가라고 평가받으며, 2024년 노벨 문학상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번 수상은 아시아 최초 여성 노벨 문학상, 한국의 두 번째 노벨상이라는 ...
술은 알코올이 함유되어 마시면 취하게 되는 음료를 말한다. 곡식이나 과일과 같은 탄수화물을 누룩이나 박테리아에 붙어 있는 효모를 이용해 발효시켜 만든 에탄올(Ethanol, C2H5OH)이 주성분이며, 이 외에도 물, 맛과 향을 내는 소량의 아미노산과 미네랄 등이 있다. 알코올은 체내에서 연소될 뿐 ...